\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0 Page)
본문 바로가기
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분류 전체보기303

바흐 마태수난곡 이해를 돕는 설명 마태수난곡은 원래 예배용 음악으로 만들어졌지만, 종교를 초월하여 감동과 울림을 주기 때문에 지금까지 사랑을 받는 곡이며, 바흐가 모든 기악 지식과 성악 기법을 녹여내 만든 필생의 역작입니다. 수많은 음악학자들이 바로크 시대의 최고의 걸작으로 꼽는 작품입니다. * 이 글은 마태수난곡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 특징, 구조 등을 설명하는 글입니다. 후속편인 "마태수난곡 하이라이트 감상하기"를 통해 들어보시기를 바랍니다. 바흐 마태수난곡 하이라이트 감상하기 마태수난곡은 총 68곡(구전집 78곡)으로 연주 시간이 3시간 가까이 이르기 때문에 쉽게 감상하기 어렵습니다. 전혀 이해할 수 없는 가사에 낯 설은 음악이 우리와 멀리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 dasichae.tistory.com 바흐(Johann Sebas.. 2023. 3. 20.
"향수" 국민 테너 박인수 님을 추모하며... 테너 박인수 님이 지난 2월 28일 세상을 떠나셨는데, 그 소식을 뒤늦게 접하게 되었습니다. 좀 늦었지만 고 이동원 님과 함께 부른 “향수”라는 노래를 감상하며 고인을 추모하고자 합니다. 개인적으로 어느 날 아침에 차 안에서 “향수”라는 노래를 들었던 기억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 아침 일찍 서울로 올라오는 차 안에서 서정적인 가사와 아름다운 멜로디가 너무 인상 깊게 느껴졌던 추억이 있습니다. 그래서 며칠 전 오랜만에 오디오를 켜서 향수와 블로그에 올렸던 노래들을 감상해 보았습니다. 박인수(1938-2023) 고 박인수 교수는 1938년 5남매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넉넉지 않은 가정 형편 때문에 초등생 때부터 과일 행상, 신문 배달 등을 하면서 고학을 했습니다. 서울대 음대를 입학한 후 4학년 때부터 오.. 2023. 3. 18.
"아들과 함께 부르는 아름다운 노래" 안드레아 보첼리 Fall On Me 이번에는 듣기 편안 크로스오버 곡을 감상하실 수 있도록 소개합니다. 이탈리아의 안드레아 보첼리와 그의 아들 마테오가 함께 부르는 Fall on me라는 곡입니다. 안드레아 보첼리(Andrea Bocelli, 1958년 생) 이탈리아 출신 안드레아 보첼리는 6살 때에 피아노 레슨을 받았고, 플루트, 색소폰, 트럼펫, 기타 등도 배울 정도로 음악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있었습니다. 그는 선천적인 녹내장을 앓았는데, 12세 무렵에 축구 시합을 하던 도중 골키퍼로 나서 눈에 공을 맞아 머리에 충격을 받고 내출혈을 일으켜 안타깝게도 시력을 잃고 말았습니다. 장애를 가진 이후에도 보첼리는 14세 때에 비아레조에서 열린 경연 대회에서 "O sole mio"를 불러 우승을 합니다. 피사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는 한편 피.. 2023. 3. 18.
그리그의 <페르 귄트> 中 솔베이지의 노래 그리그,  페르 귄트, 솔베이지의 노래 등이란 단어는 낯설지만 들어보면 굉장히 친숙한 곡입니다. 이번에는  그리그가 작곡한 페르 귄트에 나오는 솔베이지의 노래를 감상하려 합니다.  에드바르 하게루프 그리그(Edvard Hagerup Grieg, 1843-1907)   그리그는 노르웨이를 대표하는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입니다. 외교관인 아버지의 직업 때문에 그리그의 집에서 음악모임이 자주 열렸고, 그의 어머니는 아마추어 피아니스트였기에 음악과 친숙한 환경에서 성장하였습니다. 그리그가 일찍부터 음악적인 재능을 나타내자 올레 불이라는 유명한 피아니스트가 유학을 권유합니다. 그리그는 독일 라이프치히 음악원에 입학하게 되지요.   하지만 그리그에게 가장 중요한 만남은 1864년의 노드라크(Rikard Nordraa.. 2023. 3. 17.
시벨리우스의 <핀란디아 Finlandia>, 핀란드의 국민음악이 되다! 스웨덴과 러시아라는 강대국 사이에서 오랜 세월 고통을 받은 핀란드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부분이 있습니다(아래 지도 참조). 러시아에 저항하는 핀란드의 저항운동의 대표적인 곡으로 알려진 시벨리우스의  [핀란디아]를 감상해보고자 합니다. 장 시벨리우스(Johan Julius Christian Sibelius, 1865-1957)  시벨리우스는 핀란드를 대표하는 작곡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입니다. 음악애호가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시벨리우스는 일찍부터 피아노에 관심을 보였으나 연습에는 큰 흥미가 없었습니다. 14세에 우연히 바이올린을 접하게 된 이후 바이올리니스트가 되기를 꿈꿉니다. 그러나 가족들의 반대로 법대에 진학하지만 중퇴하고 음악 공부에 전념하게 됩니다. 바이올리니스트로서의 꿈은 교내 콘서트에서 흥분하여 실수.. 2023. 3. 17.
봄 노래 비교 감상(바이올린 VS 피아노) 멘델스존의 무언가 중에서 이번에는 천재들 중의 천재라고 할 수 있는 멘델스존의 음악입니다. 멘델스존이 말이 아닌 음악을 통해 무엇을 전하고 싶었던 것 작품이 [무언가]입니다. 그중에서 '봄 노래'를 비교 감상을 하려 합니다. 멘델스존(Jacob Ludwig Felix Mendelssohn Bartholdy, 1809-1847) 제가 멘델스존에게 던지고 싶은 질문은 "도대체 못하는 게 뭔데?" 그리고 "안 가진 것이 뭔데?"입니다. 멘델스존은 탁월한 재능이 많았고, 유복한 환경 속에서 살았던 사람입니다. 부유한 환경만 가진 것이 아니라 멘델스존은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영어, 프랑스어, 라틴어 등의 언어에 능통했을 뿐만 아니라 그림은 미술, 기하학, 역사, 산수, 지리 등에서도 성취가 높았다고 합니다. 멘델스존은 1809년 독일 .. 2023. 3. 16.
"Mahler enthusiasm" 말러 입문용 추천 교향곡 2번 부활 이번에는 말러의 교향곡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말러의 음악에 매료된 사람도 많지만 말러의 음악을 어럽게 느끼는 사람도 많습니다. 말러의 음악과 친숙해지도록 말러 입문용 음악으로 교향곡 5번 부활을 소개합니다.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1860-1911) 보헤미아에서 태어난 말러는 음악적 재능이 탁월하여 네 살 때부터 작곡을 했다고 합니다. 10살이 되어서는 사람들 앞에서 훌륭한 연주를 선보일 수 있었고, 이글라우의 군부대 근처에 살았던 경험은 수 백곡의 민요가 군가들을 배워 그의 작품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15세에 빈 음악원에서 음악공부를 시작한 말러는 문학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평생 독서를 열심히 했다고 합니다. 아버지가 운영하는 선술집의 위층에 살던 시절 말러는 6명의 .. 2023. 3. 15.
저작권 소송에 휘말렸던 브람스의 헝가리 무곡 클래식을 소재로 한 [브람스를 좋아하세요?]라는 드라마가 있었습니다. 브람스는 클래식을 대표하는 음악가라도 할 수 있는데, 이번에는 브람스가 저작권 소송에 휘말렸던 [헝가리 무곡]에 나오는 가장 유명한 곡을 감상해 보고자 합니다.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 낭만주의 음악의 대표자 바그너와 더불어 브람스는 고전주의를 계승하는 대표 음악가였습니다. 브람스의 대표 작품은 교향곡, 피아노 협주곡, 독일 레퀴엠, 헝가리 무곡 등이 있습니다. 독일 항구 도시인 함부르크의 가난한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난 브람스는 5세 때 함부르크 시립극장의 콘트라베이스 연주자였던 아버지로부터 바이올린과 첼로를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7세 때 코셀로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합니다. 15세 때 그는 .. 2023. 3. 15.
푸치니 나비부인 중에서... 어느 갠 날 & 허밍 코러스 클래식중에서 동양을 소재로 한 작품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푸치니는 오리엔탈적인 것에 관심이 많아 중국을 소재로 한 [투란도트]와 일본을 배경으로 하는 [나비부인]이란 오페라를 작곡했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오페라는 나비부인입니다. 자코모 푸치니(Giacomo Puccini, 1858-1924) 이탈리아 루카에서 태어난 자코모 푸치니는 베르디 이후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오페라 작곡가입니다. 라보엠, 토스카, 나비부인, 투란도트 등이 그의 대표작입니다. 아버지는 오르간 연주자였으나 일찍 세상을 떠나 푸치니는 가난한 생활을 하게 됩니다. 어린 시절 특별한 음악적 재능은 특별하지 않았지만, 오르간과 피아노를 배웠는데 오르간 연주로 입상을 하고 피아노 연주로는 돈도 벌게 됩니다. 그는 베르디의 [아이다]를 보고 감격.. 2023.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