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께 듣고 싶은 클래식/성악곡'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함께 듣고 싶은 클래식/성악곡12

슈만 헌정(Widmung) 가사/해석/듣기: 클라라를 향한 사랑 노래 짧지만 시와 음악이 조화를 이루며 사랑하는 마음을 전하는 독일 가곡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바로 슈만의 에 첫 번째 곡인 “헌정”이란 곡입니다. 슈만은 당시 유명한 피아노 교사였던 프리드리히 비크의 집에서 하숙하며 레슨을 받습니다. 비크에게는 클라라라는 딸이 있었는데 뛰어난 실력을 가지고 있었지요. 클라라는 슈만을 사랑하게 되는데, 9살이나 어린 그녀의 사랑에 부담을 느껴 거절합니다. 하지만 그녀의 계속되는 애정 표현에 결국 슈만도 그녀와 열애를 시작하게 됩니다. 이때가 클라라의 나이가 16세였지요. 하지만 비크는 두 사람의 관계를 반대합니다. 18세에 클라라가 정식으로 결혼을 요청하지만 비크는 완강하게 반대합니다. 그러자 슈만은 라이프치히 법원에 결혼 허가 소송을 통해 결국 1840년 클라라가 21.. 2025. 3. 24.
영국 대관식 음악인 헨델의 <대관식 찬가 Coronation Anthem> 中 제사장 자독 Zadok the Priest 이번에는 영국의 대관식에서 사용되는 음악인 헨델의 대관식 찬가 Coronation Anthem 중에서 제사장 자독 Zadok the Priest〉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헨델은 독일보다 영국을 더 좋아했습니다. 영국 왕실의 사랑에 받게 된 헨델은 영국으로 귀화하고 루터교에서 성공회로 개종합니다(헨델에 대해서는 맨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국왕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오페라를 무대에 올리면서도 궁정 교회를 위한 음악과 왕실 행사를 위한 음악을 작곡하게 됩니다. 조지 1세(George I, 1660-1727)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조지 2세(George II, 1683-1760)가 왕위를 물려받았을 때, 헨델은 조지 2세 대관식을 위한 큰 규모의 대관식 찬가>를 작곡하게 됩니다. 1727년 10월 11일 웨.. 2024. 10. 11.
음악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표현한 슈베르트의 <음악에, An die Musik D.547> 작곡가 음악에 대한 소중함과 감사함이 담긴 슈베르트의 라는 간단하지만 아름다운 곡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번에 소개할 슈베르트의 예술가곡은 인데, 우리말로는 “음악에 붙여”, “음악에 붙임”, “음악에 부침”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는데, 번역기를 돌려보니 개인적으로는 “음악에”가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예술가곡은 19세기 독일에서 괴테나 실러와 같은 위대한 시인들의 아름다운 시(詩)에 피아노 반주와 성악을 접목한 것으로 뛰어난 예술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독일 예술가곡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슈베르트의 는 누구에게나 가슴에 와닿을 수 있는 서정적이고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곡입니다. 슈베르트의 600여 곡이 넘는 가곡중에서 가장 단순한 간결한 곡으로 유절형식입니다. 유절형식이란 곡의 1절, 2절과 같이.. 2024. 1. 29.
베토벤의 아름다운 가곡 아델라이데(Adelaide) 아름다운 여성을 찬미하는 베토벤의 아름다운 가곡 를 소개합니다. 베토벤의 가곡은 86개로 알려져 있는데 가장 널리 알려진 곡은 이고 그다음이 아델리아데인 것 같습니다. 는 1795년 베토벤이 시인 마티손(Friedrich von Mathisson, 1761-1831)의 시에 영감을 받아 25세 때 곡을 붙인 아름다운 가곡입니다. 베토벤은 이 곡을 마티손에게 헌정했습니다. 베토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https://www.dasichae.kr/2023/08/Ludwig-van-Beethoven.html 음악의 성인(聖人)이라 불리는 베토벤(Beethoven)의 생애와 작품 음악의 악성이라 블리는 베토벤은 고전파 음악을 최고의 경지로 발전시켰으며 낭만파 음악의 길을 열게 했.. 2023. 12. 4.
슈베르트 <마왕 魔王 Erlkönig>의 줄거리 및 출판 에피소드 슈베르트의 은 인간의 내면을 깊이 있게 표현한 작품으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다하게 편곡되어 널리 연주되고 있습니다. 은 슈베르트가 작곡가 춤슈테크(Johann Rudolf Zumsteeg, 1760-1802)의 정교하고 기교 넘치는 발라드에서 영향을 받아 1815년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의 시 에 멜로디를 붙인 곡입니다. 마왕은 북유럽 민화에 나오는 일종의 악령으로 마왕이 손을 대는 사람은 무조건 죽는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작곡가 슈베르트의 생애와 작품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dasichae.kr/2023/07/Franz-Peter-Schubert.html 가곡의 왕이라 불리는 슈베르트의.. 2023. 10. 17.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 보리수 가사 포함> 가곡의 왕으로 불리는 슈베르트의 대표적인 작품인 [겨울 나그네]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작품은 슈베르트를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의 슬픔이 잘 반영된 곡입니다.프란츠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슈베르트는 많은 가곡과 기악곡, 교향곡 등을 작곡하였으나, 그를 ‘가곡의 왕’이라고 부릅니다. 그 이유는 630여 개의 많은 가곡들이 작곡했을 뿐만 아니라 가곡(Leid, 독일어로 노래라는 뜻)이라는 장르를 발전시키는 선구자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가곡을 구성하는 가사와 피아노의 역할이 이전처럼 피아노가 단순히 노래를 뒤받침 해주는 부수적인 역할만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피아노의 역할을 노래와 동등하게 끌어올렸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슈베르.. 2023. 5. 22.
"가정의 달 클래식" 드보르자크의 어머니가 가르쳐주신 노래 가정의 달 5월, 특히 내일은 어버이 날이기에 클래식을 통해 가족을 생각해 보기를 원하는 마음에서 포스팅합니다. 드보르자크의 "어머니가 가르쳐주신 노래"는 그의 어머니가 가르쳐주신 노래를 자기 자녀에게 가르쳐주고 싶었던 마음과 자신이 받은 사랑을 그대로 자녀에게 주고 싶었던 아버지의 마음이 담겨진 곡입니다. 안토닌 드보르자크(Antonín Leopold Dvořák, 1841-1904) 드보르자크의 아버지는 여관을 겸한 푸줏간집을 운영하던 아마추어 음악가였습니다. 자연스럽게 어린시절 드보르자크는 음악과 친해질 수 있었고, 또한 음악을 공부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아버지는 가게를 물려받아 안정적인 생활을 하기 원했습니다. 당시 보헤미아의 공식언어는 독일어였는데, 아버지는 드보르자크를 츨로니스로 보내 독일어.. 2023. 5. 7.
당시 커피 문화를 알 수 있는 바흐의 커피 칸타타(Coffee Cantata) 이번 주 "주용 할 커피"로 코스타리카 테라 벨라를 로스팅했습니다(206도 배출, 로스팅 타임 10분 23초, 수분율 -15.36%). 'H-1'이란 품종을 마셔보지 못해 가격이 좀 비싸지만 MI커피에서 구매했습니다. 느낌상으로 커피 맛이 좋을 것 같아 커피와 관련된 클래식을 소개하고 싶어 져[커피 칸타타]를 포스팅합니다. 커피 애호가 바흐와 당시 커피 문화 클래식에서 커피 3B(Bach, Beethoven, Brahms)로 통하는 사람 중 바흐가 작곡한 [커피 칸타타]는 당시의 커피와 관련된 문화를 통해 세대 차이를 풍자하는 작품입니다. 바흐의 [커피 칸타타]는 커피가 유럽에 널리 퍼져가는 시기에 작곡되었습니다. 1720년대 바흐가 활동하던 독일 라이프치히에서는 커피가 상당히 유행했습니다. 라이프치히에.. 2023. 5. 1.
아름다운 멜로디로 유명한 벨리니의 <방랑하는(방황하는) 은빛 달이여> 이번에는 이탈리아 가곡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오페라 작곡가로 알려진 벨리니의 가곡 '방랑하는 은빛 달이여'는 시적인 감미로운 가사와 아름다운 멜로디가 뛰어납니다.  빈센초 벨리니( Vincenzo Bellini, 1801 - 1835)  시칠리아 섬에서 태어난 벨리니는 조부와 아버지가 모두 교회의 지휘자이자 오르가니스트였던 음악가 가정에서 성장하였습니다. 5세에 피아노 연주로 주목을 받고, 7세에는 교회음악을 작곡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그는 시절부터 낭만적인 시적 감수성이 뛰어났습니다. 그래서 그의 선율은 간결하고 아름답기로 유명합니다.   18세가 나폴리에 있는 산세바스티아노 음악원에 귀족의 후원으로 입학한 후 작곡한 [아델손과 살비니](Adelson e Salvin)이 성공하고, 26세에는 오페라 [.. 2023.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