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래식 잡학 사전'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반응형

클래식 잡학 사전26

서양 음악의 기초가 된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 서양의 클래식 음악의 기초가 된 종교음악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서양음악은 기독교를 빼놓고 이야기를 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기독교가 유럽에 전파되면서 탄생한 종교 음악이 클래식 음악의 뿌리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에 그레고리오 성가( Gregorian chant)가 널리 보급되기 시작합니다. 그레고리오 성가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지역마다 독특한 다양한 성가가 존재했습니다. 그러다 로마 교황 그레고리오 1세(590-604년 재위)는 교회의 중앙 집권화를 위해서 유럽에 다양하게 정착된 성가들을 하나로 통합하라는 지시를 내립니다. 정식 명칭은 ‘로마 전례 성가“이지만 로마의 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이름을 따서 그레고리오 성가라고 불리웁니다. 그레고리오 .. 2024. 3. 11.
최초의 음악학교 스콜라 칸토룸(Schola Cantorum) 이번에는 최초의 음악학교라고 할 수 있는 스콜라 칸토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그레고리안 성가에 대하여 포스팅을 하려다 먼저 스콜라 칸토룸을 소개하게 되었네요. 음악사에서 중세는 4세기 중엽부터 1515세기말까지의 약 1000년의 시기를 뜻합니다. 중세 초기 최초의 음악학교라 할 수 있는 '스콜라 칸토룸‘(Schola Cantorum, 노래하는 자들의 학교라는 뜻)이 세워졌습니다. 교황 실베스테르 1세(SylvesterⅠ, 재위 314-335)가 로마에 창설한 교회음악교육 기관으로 교황청에 소속된 성가대인 동시에 사제들에게 성가를 가르치는 음악학교였습니다. 그후 6세기에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재위 590-604)는 사제들이 성가대와 성직자의 임무를 병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하여 사제들은 성직자의 임.. 2024. 2. 8.
피아노 이전의 건반악기 클라비코드와 하프시코드(쳄발로) 어떻게 다른가? 클래식에 관심을 갖다 보면 피아노의 전신 건반악기들의 이름이 다양해서 혼란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간단명료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는 용어를 정리하는게 도움이 됩니다.용어정리 피아노의 전신 건반악기들은 16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버지날, 스피넷, 클라비코드, 하프시코드 등 매우 다양했습니다. 비발디, 헨델, 바흐 등이 활동했던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건반악기(독일어로 클라비어, Klavier)는 하프시코드와 클라비코드입니다. 그런데 하프시코드는 독일어로 쳄발로, 이탈리어로는 클라비쳄발로, 프랑스어로는 클라비생이라고 여러 이름으로 불려지기 때문에 더욱 혼란스럽게 합니다. 이런 명칭들이 하프시코드에 대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복잡한 것이 많이 줄어듭니다. 클라비코드(c.. 2024. 1. 15.
크리스마스 캐럴(Christmas Caro)의 유래 크리스마스 시즌이 다가와 크리스마스에 많이 들을 수 있는 크리스마스 캐럴의 유래를 정리해봤습니다. 예수의 탄생을 기념하는 크리스마스는 종교를 초월하여 대부분의 국가에서 가정, 이웃사랑, 자선, 어린이들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적인 축제의 날이 되었습니다. 이런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느끼는 하는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은 크리스마스 캐럴입니다.. 캐럴(Carol)이란(Carol) 단어는 둥글게 무리 지어 춤추는 춤이라는 뜻의 프랑스 카롤르(carole, 옛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캐럴이라고 부르는 것은 영어권의 경우이고 프랑스에서는 노엘(noël), 독일에서는 바이나흐츠리트(Weihnachtslied, 크리스마스의 리트), 스페인에서는 빌란시코(villancico) 등(villancico) 다양한 이름.. 2023. 12. 14.
오케스트라의 악기 배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일까 오케스타라에서 여러 악기들은 어떻게 배치하는 것인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오케스트라에서 악기는 어떻게 배치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오케스트라 악기 배치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오케스트라의 음색과 균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입니다. 적절한 배치를 통해 소리가 제대로 조화를 이루어져 오케스트라의 음악이 더욱 풍성하고 아름다운 소리로 들릴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오케스트라에서 악기 배치는 절대적인 법칙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연주하는 곡이나 공연장의 지역이나 음향 조건, 지휘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푸르트벵글러 같은 지휘자는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이끌고 순회공연을 다닐 때, 공연장의 상태에 따라 악기 배치를 달리했다고 합니다. 자세한 악기 배치를 설명하기 앞서 .. 2023. 11. 5.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던 오르페우스(오르페오)의 슬픈 사랑 이야기 이번에는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던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오르페우스의 비극적인 사랑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 속의 음악가 오르페우스(Orpheus)는 트라키아의 왕 오이아그로스(아폴로 신이라는 설도 있음)와 무사(Mousa, 영어명 muse) 칼리오페(Caliope, 무사들의 우두머리이자 서사시를 관장하는 여신)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칼리오페는 아홉 명으로 구성된 무사이(Mousai)와 서사시를 관장하는 여신입니다. 오르페우스는 아폴론에게서 하프를 배웠는데, 어찌나 하프를 잘 연주하는지 그가 연주를 하면 돌들도 춤을 추고 맹수들도 얌전해졌다고 합니다. 그런 천재 음악가 오르페우스가 아름다운 숲의 요정 에우리디체(Eurydice)를 아내로 맞아 달콤한 신혼생활을 시작합니다. 하.. 2023. 10. 21.
평행이론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공통점이 많았던 바흐와 헨델의 삶과 음악 바로크 시대의 걸출한 두 명의 음악가 바흐와 헨델은 비슷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두 음악가가 얼마나 비슷했는지 또한 무엇이 달랐는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바흐와 헨델 두 사람이 비슷한 부분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데, 여러 군데서 보았던 내용들을 공통점과 다른 점이 무엇인지 정리했습니다. 공통점1. 바흐는 ‘음악의 아버지’로 헨델은 ‘음악의 어머니’라고 불릴 정도로 두 사람은 음악사에 커다란 영향을 남긴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들입니다. 2.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와 조지 프레드릭 헨델(George Frideric Handel)은 모두 1685년 독일에서 태어났습니다. 바흐는 아이제나흐에서 태어났고 헨델은 할레에서 태어났는데, 두 도시의 거리는 불과 80마일(1.. 2023. 10. 7.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하게 몰랐던 소나타(sonata) 이해하기 '소나타'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혹시 자동차가 아닌가요? 소나타는 음악용어입니다. 소나타는 클래식음악에서 기본적이고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악곡 형식을 의미합니다. "칸타나"는 '노래하다'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칸타레(Cantare)에서 나온 것으로 성악 혹은 합창 음악을 뜻합니다. 이와 달리 "소나타"는 '소리를 내다'라는 소나레(Sonare)에서 나온 것으로 기악 음악을 뜻합니다. 성악을 위한 칸타타와 구분되는 용어로 사용된 소나타는 처음에는 독주 악기로 연주하는 장르를 말하는 용어였지만 모차르트에 이르러서 특정 음악 구조 형식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기사나 춤 없는 악기들의 소리로 청중들은 그 음악이 무엇을 표현하는지 파악해 내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기악 음악이 표현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 2023. 10. 5.
도레미파솔라시도(음계)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은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라는 5음계로 되어있지만, 서양의 음악은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라는 7음계로 되어있습니다. 이번에는 서양의 7음계가 만들어진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서양의 7음계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에서 나오는 도레미송을 기억하시면 됩니다. 을 마리아와 아이들이 알프스 언덕과 잘츠부르크 공원에서 부르던 7음계명과 비슷한 발음의 단어와 연결한 노래가 나옵니다. 예를 들면 '도'는 'doe(암사슴)', , '레'는 'ray(빛)', '미는 'me(나)', '파'는 'far(먼)' 등 이런 식입니다. 7음계도 이외 비슷한 발상으로 귀도 다레초 ( Guido d'Arezzo, 990? - 10.. 2023. 10.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