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Language Arabic Chinese (Simplified) Chinese (Traditional) English French German Hindi Indonesian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ussian Spanish Vietnamese 반응형 함께 듣고 싶은 클래식/협주곡15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Clarinet Concerto in A major K.622) 모차르트의 작품 중 유일한 클라리넷 협주곡이며 모든 클라리넷 연주자들의 필수 레퍼토리인 클라리넷 협주곡을 소개합니다. 1781년 빈에 정착한 이후 모차르트(WolfgangAmadeusMozart, 1756-1791)는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콘스탄체 베버와 결혼을 하고 빈 고전과 양식을 완성해 나가기 시작합니다. 이무렵 모차르트는 빈 궁정악단의 클라리넷 연주자 안톤 슈타틀러(Anton Paul Stadler, 1753–1812)를 만나게 됩니다. 슈타틀러의 클라리넷 연주는 모차르트로 하여금 클라리넷을 위한 곡을 작곡하려는 영감을 주었고, 클라리넷 5중주 K581>에 이어 사망하기 2달 전 클라리넷 협주곡 K622>을 작곡하였습니다. 모차르트의 만년의 생활은 말이 아니었습니다. 아이들은 나면서 .. 2025. 1. 27. 비발디의 사계 中 여름 비발디의사계>는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클래식 음악입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봄’ 뿐만 아니라 계절이 바뀔 때마다 사계를 듣고 싶을 정도로 계절의 변화를 따라 즐길 수 있는 명곡입니다. 비발디의 생애와 작품에 대해서는 아래의 글을 참조하세요.https://www.dasichae.kr/2023/06/Antonio-Vivaldi.html#google_vignette 사계의 작곡가로 알려진 안토니오 비발디의 생애와 작품사계의 작곡가로 유명한이탈리아 안토니오 비발디의 생애와 작품 그리고 서양음악에 끼친 영향을 기록하였다.www.dasichae.kr 이렇게 계절에 따른 변화를 잘 표현한 사계는 소네트에 따라 곡의 흐름이 전개됩니다. 소네트(sonnet)는 유럽에서 유행했던 전형시의 한 종류인데, 사계의 .. 2024. 6. 1. 막스 브루흐의 바이올린협주곡 1번 G단조 가장 아름다운 협주곡주의 하나인 막스 브루흐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은 로맨틱하면서도 감수성이 풍부한 아름다운 곡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작품입니다. 막스 브루흐(Max Christian Friedrich Bruch, 1838-1920년)는 19세기 후반 독일의 낭만주의 작곡가 겸 지휘자였습니다. 그의 음악적 특징은 선율이 풍부하고 여러 나라의 민속적 소재를 사용하여 서사시적 표현을 한 것입니다. 브루흐는 3곡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남겼는데, 1번은 19세기 낭만주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대표하는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브루흐가 28세가 되던 1866년에 완성된 은 낭만적이고 감수성이 풍부하여 멘델스존의 바이올린협주곡 이후 가장 많이 연주되는 곡입니다. 이 곡은 독일 낭만주의 음악의 전통을 계.. 2024. 2. 4. 하이든의 현악4중주 76번 황제 이번에 소개할 곡은 많이 들어보신 곡입니다. 독일의 국가로나 기독교 찬송가로 사용되었기에 어디선가 들어본 익숙한 곡인 하이든의 현악4중주 '황제'입니다. 작곡가 하이든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면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https://www.dasichae.kr/2023/07/Franz-Joseph-Haydn.html 교향곡의 아버지 하이든의 생애와 작품교향곡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요제프 하이든의 생애과 작품에 대한 글이다.www.dasichae.kr 파파 하이든은 런던에서 지낸 한 시기를 제외하면 반세기에 가까운 세월 동안 에스테르하지 후작 아래서 활동했습니다. 1761년 29세에 에스테르하지가의 부악장이 되었고, 1766년에는 악장이 되었습니다. 는 그의 마지막 시기에 해당하는 179.. 2023. 12. 8. 호아킨 로드리고 <아랑후에즈 협주곡>, 클래식 기타의 잠재력을 끌어올리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처음으로 기타 연주곡을 소개합니다. 기타와 오케스트라가 협주하는 로드리고의 아랑후에즈 협주곡>입니다. 안드레스 세고비아(Andres Segovia, 193~1987)가 민속악기 수준에 머물던 기타를 독주악기로 세계적인 위상을 높인 연주가였다면 호아킨 로드리고(Joaquin Rodrigo, 1901~1999)는 기타 속에 내재된 잠재적 표현력을 최고로 끌어올린 작곡가였습니다. 스페인 국민 음악가로 유명한 호아킨 로드리고는 200개에 달하는 많은 곡을 만들었지만 그를 대중적으로 유명하게 만든 것은 기타 음악인데, 그중에서도 결정적인 영향을 준 작품은 바로 기타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아랑후에즈 협주곡>(Concierto de Aranjuez)입니다. 로드리고가 네 살 때인 1905년.. 2023. 12. 1. 안토니오 비발디의 사계 中 겨울(L'inverno) 클래식 중에서 가장 유명한 곡 중의 하나인 비발디의 사계 중 겨울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봄과 가을에 이은 세번째 소개입니다. 안토니오 비발디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소개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s://www.dasichae.kr/2023/06/Antonio-Vivaldi.html 사계의 작곡가로 알려진 안토니오 비발디의 생애와 작품 사계의 작곡가로 유명한이탈리아 안토니오 비발디의 생애와 작품 그리고 서양음악에 끼친 영향을 기록하였다. www.dasichae.kr 비발디에 대하여 극작가 골도니는 “비발디는 바이올리니스트로서는 만점, 작곡가로서는 그저 그런 편이고, 사제로서는 빵점이다.”라고 평가했습니다. 비발디가 활동했을 당시에는 작곡가로서보다는 바이올리니스트로서 더 유명했던 것 같습니다. 뛰어.. 2023. 11. 20. 보이저호 골든 레코드에 수록된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2번 우주로 보낸 보이저호에는 인류문명의 정보를 전달하고자 지구의 소리라는 이름의 골든 레코드를 실었습니다. 여기에 27개의 곡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첫 번째 곡,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2번을 감상해 보고자 합니다.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은 협주곡 문헌에서 중요한 작품을 뿐만 아니라 상당히 대중적인 곡들로서 비발디의 협주곡 양식을 악장 구성이나 악기구성 등에 있어서 새롭게 발전시킨 곡들입니다. 1721년 작곡되어 브란덴부르크 공 크리스티안 루드비히에게 헌정된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은 모두 6곡으로 1718년에서 1721년 사이에 쾨텐에서 작곡되었습니다. 작곡가 바흐와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에 대하여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누르시면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dasichae.kr/2023.. 2023. 9. 11. 안토니오 비발디의 사계 中 가을(L'autunno) 9월이 되니 가을에 듣기 좋은 곡으로 비발디의 [사계]중 가을을 소개합니다. 사계 중에서 봄이 가장 유명하지만 가을도 감상하기 좋아 함께 듣고 싶네요. 봄은 이미 2월에 포스팅을 했습니다. https://dasichae.tistory.com/23 "봄맞이 클래식" Serenade to Spring(시크릿 가든) & 사계 중 봄(비발디)'봄'이라는 계절과 잘 어울리는 클래식 음악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소개하려는 두 곡 모두 유명하지만, 곡에 대한 배경을 알게 되고, 또한 휼륭한 연주를 통해 봄을 새롭게 맞이했으면 합니다. dasichae.tistory.com [사계의 작곡가 안토니오 비발디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것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dasichae.kr/2023.. 2023. 9. 6. 장학퀴즈와 오징어게임에서 들어보았던 하이든의 트럼펫협주곡 우리에게 익숙한 곡이면서도 트럼펫의 발전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역사적인 곡인 하이든의 트럼펫협주곡에 대하여 알아보고, 3악장을 감상도 해보겠습니다. 하이든의 트럼펫 협주곡 (Trumpet Concerto in E♭ major, Hob.VIIe:1)의 3악장은 매우 친숙합니다. MBC 장학퀴즈(지금은 EBS에서)의 오프닝 송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오징어게임]이란 영화에서 아침기상 음악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작곡가인 하이든의 생애와 작에 대하여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https://www.dasichae.kr/2023/07/Franz-Joseph-Haydn.html 교향곡의 아버지 하이든의 생애와 작품교향곡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요제프 하이든의 생애과 작품에 대한 글이다... 2023. 8. 2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