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Language Arabic Chinese (Simplified) Chinese (Traditional) English French German Hindi Indonesian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ussian Spanish Vietnamese 클래식 잡학 사전28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하게 몰랐던 소나타(sonata) 이해하기 '소나타'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혹시 자동차가 아닌가요? 소나타는 음악용어입니다. 소나타는 클래식음악에서 기본적이고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악곡 형식을 의미합니다. "칸타나"는 '노래하다'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칸타레(Cantare)에서 나온 것으로 성악 혹은 합창 음악을 뜻합니다. 이와 달리 "소나타"는 '소리를 내다'라는 소나레(Sonare)에서 나온 것으로 기악 음악을 뜻합니다. 성악을 위한 칸타타와 구분되는 용어로 사용된 소나타는 처음에는 독주 악기로 연주하는 장르를 말하는 용어였지만 모차르트에 이르러서 특정 음악 구조 형식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기사나 춤 없는 악기들의 소리로 청중들은 그 음악이 무엇을 표현하는지 파악해 내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기악 음악이 표현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 2023. 10. 5. 도레미파솔라시도(음계)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은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라는 5음계로 되어있지만, 서양의 음악은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라는 7음계로 되어있습니다. 이번에는 서양의 7음계가 만들어진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서양의 7음계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에서 나오는 도레미송을 기억하시면 됩니다. 을 마리아와 아이들이 알프스 언덕과 잘츠부르크 공원에서 부르던 7음계명과 비슷한 발음의 단어와 연결한 노래가 나옵니다. 예를 들면 '도'는 'doe(암사슴)', , '레'는 'ray(빛)', '미는 'me(나)', '파'는 'far(먼)' 등 이런 식입니다. 7음계도 이외 비슷한 발상으로 귀도 다레초 ( Guido d'Arezzo, 990? - 10.. 2023. 10. 1. 클래식 음악가들이 고용인에서 프리랜서가 되기까지 우리들은 바흐, 하이든, 모차르트 등의 음악가들을 천재적인 위대한 음악가로 인식합니다. 하지만 그들이 활동했던 당시에도 이러한 사회적인 대우를 받으며 살았을까요? 클래식 음악가들이 고용인에서 프리랜서가 되기까지의 여정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1685 – 1750)가 활동했던 바로크 시대는 신분질서가 분명한 절대왕정 시대였습니다. 그 당시 문화의 중심지는 교회와 궁정이었는데, 음악가들은 교회, 궁정, 시에 소속되어 교회, 왕, 귀족들의 후원으로 생활을 했던 고용인에 불과했습니다. 교회와 궁정에는 청소, 요리, 정원, 의상 등을 담당하는 많은 고용인들이 있었는데, "음악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바흐는 음악을 담당하는 고용인이었습니다. 바흐는 1723년부터 1750.. 2023. 9. 26.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테너 바리톤 베이스의 세분화된 종류들 클래식 중에서 오페라에 관심을 갖다 보면, 성악가의 음역대를 보다 세부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소프라노나, 리릭 메조소프라노, 스핀토 테너 등등... 이번에는 음역대별로 세분화하여 분류하는 용어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성악가는 음역대에 따라 여자 성악가는 높은음을 내는 소프라노와 그보다 낮은음을 내는 메조소프라노로 나뉩니다. 남자 성악가는 음역이 높은 순서대로 테너, 바리톤, 베이스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오페라에서는 보다 세분화하여 사용하는 표현들을 음역대에 따라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오페라에서 역할과 음색에 따라 분류하였지만 이러한 구분법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소프라노 콜로라투라 소프라노(soprano coloratura) 이탈리어어 '콜.. 2023. 9. 17. 음악용어는 왜 이탈리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을까 음악과 관련된 단어는 대부분이 이탈리아입니다. 음악의 아버지 바흐를 비롯해 모차르트, 베토벤 등 위대한 작곡가들이 독일이나 오스트리아 출신이 많고, 현재 클래식의 중심 지역도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의 도시들입니다. 그런데 왜 음악용어는 이탈리아어가 대부분인 것일까요? 커피 관련 용어들을 한 번 떠올려 보세요. 에스프레소, 카푸치노, 카페라테, 아메리카노, 아포가토, 마키아토... 모두 이탈리아어입니다. 커피와 관련한 용어에서 왜 이렇게 이탈리아어가 많이 사용되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원두에서 커피를 추출해 낼 수 있는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탈리아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하면서 커피 산업의 주도권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커피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또 다른 분야는 바로 음악입니다. 칸타빌레(can.. 2023. 9. 8.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차이는? 이번에는 클래식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교향악단)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베를린 필하모니, 빈 필하모닉 등으로 명칭 하는 교향악단이 있고, 시카고 심포니, 베를린 도이치심포니 등 심포니란 이름을 쓰는 교향악단이 있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다른 것일까요? 위키백과에 의하면 '오케스트라'(ορχήστρα)라는 말은 본래 고대 그리스 합창단이 노래하고 춤추던 장소를 뜻하였는데, 17세기말에 다시 부활하여 18세기 초 프랑스에서는 연주자를 의미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모두 연주를 의미하는 오케스트라이지만 어느 오케스트라에는 필하모닉을, 어느 오케스트라에는 심포니란 명칭이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필하모닉'과 '심포니'라는 단어에 차이가 있는지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필하모닉'(philharmonic)은 '하모니아.. 2023. 8. 26. 협력과 경쟁이 함께 조화를 이루는 협주곡(concerto)에 대하여 클래식 음악에 입문하기 좋은 장르인 협주곡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협주곡이 어떻게 발전해오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클래식에 관심이 없으는 사람이라도 화려한 드레스나 턱시도를 차려입은 피아노나 바이올린 독주자가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를 하거나 때로는 혼자 연주하는 모습은 기억하실 것입니다. 독주자와 오케스트라가 함께 연주하도록 작곡된 '협주곡(concerto)'은 아마도 클래식에 입문자들에게 가장 접근하기 쉬운 악장르입니다. 협주곡에서는 오케스트라만 계속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화려한 기량을 뽐내는 협연자가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하다 보니 협연자의 카리스마와 매력에 따라 관객들을 음악에 몰입시키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협주곡은 이탈리아어로 '콘체르토(concerto)'라고 하는데, '협동하다', .. 2023. 8. 17. 음악적 재능을 꽃 피우지 못한 여성들(파니 멘델스존과 클라라 슈만) 클래식 음악사 가운데 탁월한 음악적 재능을 가졌으나 여성이란 이유 때문에 꽃을 피우지 못한 여성, 파니 멘델스존과 클라라 슈만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모차르트의 누이 난넬은 고민 끝에 제외했습니다. 펠릭스 멘델스존의 누나 파니 멘델스존(Fanny Mendelssohn, 1805-1847)은 네 살 위 누나로 음악적 재능이 탁월했습니다. 부유한 멘델스존 가문은 아들과 딸을 교육하는데 열성적이었습니다. 라틴어, 문학, 그림, 피아노 교육을 받았습니다. 13세에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전곡을 암기하여 연주하고, 이탈리아 연주여행 중에는 베토벤, 바흐, 멘델스존의 다양한 곡을 암보로 연주할 정도였습니다. 프랑스의 작곡가 샤를 구노가 칭찬할 정도로 유능했지만, 보수적인 그녀의 아버지는 여성이라는 이유로 그녀.. 2023. 8. 11. 클래식 음악의 꽃 교향곡(symphony) 알아보기 클래식 음악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교향곡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시작되어 발전했는지를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클래식을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는 단어가 아마 '교향곡'(symphony)이란 단어일 것입니다. 교향곡은 오케스트라를 돋보이게 하는데 수십 명의 연주가들이 명실상부한 클래식 음악의 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음악회에서 가장 마지막에 연주되는 것도 이러한 특성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곡 모두가 교향곡은 아닙니다. 오케스트라에서 연주되는 곡 중에는 교향곡 외에도 교향시, 관현악곡, 협주곡, 서곡 등 여러 장르가 있습니다. 교향곡을 정의하자면, 오직 악기로만 연주되며 4악장으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이것도 완벽한 정의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교향곡은 5악장으로 .. 2023. 8. 8.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