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Language Arabic Chinese (Simplified) Chinese (Traditional) English French German Hindi Indonesian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ussian Spanish Vietnamese 반응형 클래식 잡학 사전28 모차르트 때문에 클래식 역사상 가장 억울한 사람 안토니오(안톤) 살리에리 모차르트의 음악적 재능을 시기한 살리에리가 모차르트를 죽음에 이르게 했다는 영화 [아마데우스, Amadeus]로 인해 살리에리의 부정적 이미지는 극에 달하게 됩니다. 과연 살리에리는 모차르트를 시기하고 질투했던 것일까요? 이탈리아 레냐노에서 태어난 살리에리(Antonio Salieri 1750-1825)는 어렸을 때부터 음악 재능이 뛰어났습니다. 부모가 죽자 형과 함께 베네치아에 와서 음악 공부를 하던 그는 16살에 스승 가스만을 만난 뒤 비엔나로 옵니다. 그 후 스승이 죽자 살리에르는 궁정 작곡가가 되고, 1788년에는 음악가로서 당시 최고의 자리인 궁정 악장 자리에 오르게 됩니다. 이러한 살리에르에게 천재 음악가 모차르트(1756-1791)가 나타나자 살리에르가 병적인 시기와 질를 했던 것일까요? 살.. 2023. 8. 2. 불편한 진실은 숨기고 싶은가?(Feat. 지인에게 건네 준 서양음악사) 클래식 블로그를 운영한다고 하자 지인께서 서양음악에 대한 자료를 건네주셨습니다. 그 자료를 통해 클래식 음악가에 대하여 불편한 진실은 숨기고 싶은 것 같은 생각이 들어 글을 작성해 봅니다. 그렇게 친하지 않아도 함께 할 수 있는 공통분모가 있으면 통하는 것일까요? 클래식에 대한 블로그를 운영한다는 말을 듣고 선 듯 지인은 본인이 공부했던 자료를 참고하라고 제공해 주셨습니다. 지난주 다시 만나게 되었을 때 지인께 감사의 인사를 건네면서, 그분이 주셨던 자료를 통해서 얻은 몇 가지의 유익했던 것들을 말씀드렸습니다. 시중에 나와있는 자료에 언급되지 않거나 다른 내용이 건네주신 자료에 있었는데, 제가 그 자료에 있던 내용이 사실이란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는 것을 말씀드렸습니다. 그러자 이번에는 아래 사진에 있는 .. 2023. 7. 29. 클래식 작곡가들 수입과 사치성향, 자산도, 후대에 끼친 영향은 어느 정도일까?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는 책을 발견했습니다. 음악의 아버지 바흐부터 20세기 스트라빈스키까지 위대한 작곡가 41명에 대한 수입을 측정한 책입니다. 책의 내용을 모두 소개할 수는 없고 저자가 분류한 6가지 기준만을 소개합니다. [잘 나가는 모차르트 개런티는 얼마일까?](시그마북스, 2022년 16000원)의 저자 야마네 고로는 클래식 음악 애호가를 위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해외 아티스트를 초청하여 콘서트를 진행하는 업무를 1000회 이상 담당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저자는 이 책에서 작곡가의 수입을 6가지 평가 기준으로 분류하였습니다. 분류하여 가치를 환산하는 것은 책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하여 경제적 관점에서 여러 작곡가들을 한 번에 파악할 수 있어 유익.. 2023. 7. 26. 현악기의 명품 스트라디바리우스(Stradivarius)에 대하여 스트라디바리우스는 과르네리와 아마티와 함께 세계 3대 명품 현악기로 손꼽힙니다. 오랫동안 신비로 남아있던 명품 스트라디바리우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스트라디바리우스는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기타, 하프 등의 현악기를 의미하는데, 17세기 스트라디바리 가문 특히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Antonio Stradivari, 1644-1737)가 제작한 악기들을 의미합니다. 18세기 악기의 라벨에 제작자와 지명의 라틴어 스라라디바리우스라는 단어를 사용해야 했는데, 요즘은 대체로 스트라디바리우스는 악기를, 스트라디바리는 제작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합니다. 스트라디바리 일가는 1000대가 넘는 현악기를 제작했는데 현재는 600여 대 정도만 남아 있다고 합니다. 이 중에서 바이올린은 100여 개 밖에 되지.. 2023. 7. 23. 음악은 언제 시작되었을까? 이번 포스팅은 인류의 역사에서 음악은 언제 시작되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인간이 언제부터 음악을 만들고 즐기게 되었는지 현재까지 베일에 싸여 있습니다. 하지만 음악은 인류 문명의 모든 단계에서 항상 인간과 함께 해왔습니다. 음악은 언어의 부수적인 산물이 아니라 언어가 없었을 때부터 음악은 존재했습니다. 일례로 최근에 네안데르탈인이 만든 것으로 추정된 플루트가 프랑스에서 발견되었는데, 상당히 정교하게 만들어진 이 악기의 연대를 추적해 보니 5만 33천 년 전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인류 최초의 회화로 여겨지는 라스코 동굴벽화보다 두 배나 오래된 것입니다. 이런 사실은 인간이 성장하는 과정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말할 줄 모르는 아기도 음악에는 반응을 합니다. 시중에 태교 클래식 음악이.. 2023. 7. 20. 아름다운 결혼식을 위한 클래식 음악 추천 (Classic Music for Wedding) 결혼식에서 바그너와 멘델스존의 '결혼행진곡'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 외에도 결혼식에 좋은 클래식 곡들이 많습니다. 꼭 결혼식이 아니더라도 밝고 우아하고 경쾌하여 그낭 듣기에도 좋습니다. 추천하는 클래식 음악들이 너무 많아 설명은 생략하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바그너와 멘델스존의 결혼행진곡에 대한 에피소드만 소개하겠습니다. 흔히 신부 입장 음악으로 쓰이는 ‘결혼행진곡’의 원곡은 바그너(Wilhelm Richard Wagner, 1813-1883)의 오페라 [로엔그린]의 3막 결혼식 장면에 등장하는 ‘혼례의 합창’입니다. 오페라의 마무리는 비극적인 파국으로 끝이 납니다. 그런데 영국의 빅토리아 공주가 1858년 프리드리히 윌리엄(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3세)과 자신의 결혼식을 위해 직접 선곡한 이후 결혼식에.. 2023. 6. 13. 모차르트 효과(Mozart Effect), 모차르트 음악을 듣게 하면 아이가 똑똑해질까? '모차르트 효과'는 모차르트의 음악을 아이에게 들려주면 머리가 좋아진다는 것입니다. 이런 주장에 대하여 말도 많고 탈도 많습니다. 그래서 모차르트 효과에 대하여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모차르트의 효과를 언급하는 클래식 음반은 쉽게 찾을 수 있을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멘델스존, 생상스, 르로이 앤더슨 등의 천재들 중에서도 음악적인 재능은 모차르트가 최고이기에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으면 아이의 IQ와 EQ가 좋아진다는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차르트의 [아이네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와 같은 음악을 들으면 과연 머리가 똑똑해질까요? 모차르트 효과를 둘러싼 이야기는 1993년에 시작되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 캠퍼스의 연구팀은 36명의 학생들에게 10분 동안 모차르트(Wolfgang Amadeu.. 2023. 6. 8. 시대별로 간략하게 요약한 서양 음악사 서양 클래식 음악의 흐름을 시대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감상에 도움을 얻기 위해 책을 읽을 때 바로크시대, 고전주의 등을 시대순으로 이해하지 못해 좌충우돌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클래식의 발달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까 하여 서양음악의 흐름을 잡학사전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 시대를 구분하는 연대는 음악학자마다 차이가 있다고 하니 이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세시대 (Medium aevum, 476-1450) - 대표음악가 : 기욤 드 마쇼(프랑스) - 중세시대의 음악은 종교음악이 중심이나 서양음악의 기초가 되었음 - 종교적 메시지를 담아야 했기 때문에 성악곡 중심이었고, 악기는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연주되기 시작했음 - 반면 대중음악에서는 노래보다는 악기 연주가 많이 사용되었고 즉흥연주가 대부.. 2023. 5. 17. 핵심적인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한 오페라 용어 (오라토리오와 뮤지컬 차이) 낯 설고 어렵게 느껴지는 오페라 용어들을 핵심적인 간단한 설명으로 정리했습니다. 순서는 알파벳 순입니다. 또한 오페라와 비슷한 오라토리오와 뮤지컬이 차이도 정리했습니다. * 오페라와 비슷한 장르 : 오라토리오(Oratorio)와 뮤지컬 * 오페라와 오라토리오의 차이 : 오라토리오는 종교적인 음악이기 때문에 오페라와 다르게 무대 연출이나 연기가 없음 * 오페라와 뮤지컬의 차이 : 오페라는 음악극 형식으로 노래가 중심이지만 뮤지컬은 노래와 춤이 중심이 되는 연극 형식. 간단하게 정리하면 오페라는 녹음된 연주와 마이크 사용을 하지 않으며, 가급적 원어를 사용하며, 배우들이 춤을 추지 않음. 아리아(aria) : 오페라에 반주가 따르는 노래아리에타(arietta) : 짧은 아리아 아리오소(arioso).. 2023. 4. 20.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