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께 하는 클래식
본문 바로가기
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반응형

전체 글303

조르주 쇠라의 그랑드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점묘법이란 독특한 기법으로 신인상주의의 길을 열었던 프랑스의 조르주 쇠라 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는 신인상주의의 시대를 연 프랑스 화가 조르주 쇠라(Georges Seurat, 1859-1891)의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쇠라가 이 작품을 발표했을 때가 27살이었는데, 안타갑게도 4년 후 독감에 걸려 31살에 급사했습니다. 대표 작품은 6점뿐일 정도로 정말 짧은 삶을 살았지만, 그가 남긴 흔적은 신인상주의라는 새로운 길을 제시하였습니다.   인상파 화가들은 빛을 표현하는데 집중하여 사물의 형태 등을 소홀히 여긴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쇠라는 인상파 화가들의 빛에 관한 해석을 따르면서도 점묘화법을 통해 신인상주의의 길을 열었습니다. 쇠라는 빛과 색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사진기의 원리나 지각 현상과.. 2024. 2. 19.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 1년 후기 블로그를 운영한 지 1년이 란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의 티스토리 운영 1년 후기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블로그를 운영한 지 어느덧 1년이 지났네요. 2023년 2월 16일 첫 글을 포스팅하기 시작하여, 3월 7일 애드센스 승인 메일을 받았습니다. 지금까지 1년 동안 231개의 글을 올렸는데, 클래식을 메인으로 하여 블로그와 관련된 글이나, 미술, 책 등에 대한 포스팅을 했습니다. 6개월인지 1년 동안 열심히 글을 작성하라는 조언을 마음에 새기고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려고 했습니다. 구글의 상위노출을 목표로 포스팅을 했던 것은 좋은 결정이었던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다음은 초기에 티스토리를 초기에 노출되는 데 유리하지만 지속력이 짧고, 네이버는 검색노출 알고리즘이 자주 바뀌어.. 2024. 2. 17.
브린 터펠(Sir Bryn Terfel)의 <Sea Songs> 오랜만에 편하게 들을 수 있는 바다를 주제로 한 앨범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웨일스 태생의 세계적인 바리톤 가수 브린 터펠의 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베이스 바리톤 브린 터펠 경(Sir Bryn Terfel, 1965년)이 라는 새로운 앨범이 발매되었습니다. 답답한 일상에서 벗어나 바다를 보고 싶은 충동이 있어서 그런지 더욱 눈길이 가더군요. 며칠 열심히 노래를 들어보았지요. 생각보다 좋은 것 같아 이렇게 포스팅을 되었네요. 이 앨범은 바다를 주제로 웨일스,잉글랜드, 아일랜드, 셰틀랜드, 브르타뉴 등지의 해안의 민요, 선원들의 뱃노래 모음집으로 모두 17곡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스팅, 사이먼 킨리사이드, 피셔맨스 프렌즈, 이브 굿맨 등의 아티스트들이 참여했습니다. 아래는 앨범에 수록된 곡들입니다. 제목도 알.. 2024. 2. 15.
당시 바흐보다 더 유명했던 텔레만의 식탁음악(Tafelmusik) 이번에는 식사를 하면서 즐길 수 있는 음악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바흐와 헨델과 친분을 맺으면서도 그들보다 더 유명했던 텔레만의 입니다.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로 누가 떠오르시나요? 우리는 바흐나 헨델을 자연스럽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들이 살아있을 당시에는 텔레만(Georg Philipp Telemann, 1681~1767) 이 훨씬 더 인기 있는 음악가였습니다. 그가 악보 판매 예약을 받기 시작하면 독일뿐만 아니라 영국, 프랑스, 스웨덴, 저 멀리 러시아에서까지 텔레만의 악보를 사기 위한 주문이 쇄도했다고 합니다. 라이프치히의 칸토르(도시의 음악 총괄자) 자리가 비었을 때 바흐와 텔레만이 함께 지원하였는데, 라이프치히 시의회에서는 텔레만을 가장 우선순위에 두었고, 바흐는 3순위였다고 합니다... 2024. 2. 13.
예상하지 못한 변화를 일으킨 다비드의 <호라티우스 형제의 맹세> 다비드의 은 미술사적으로 신고전주의의 시작을 알리고 프랑스 대혁명에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화가 개인에게도 변화를 가져다준 유명한 작품입니다. 1776년 로마대상을 받은 자크 루이 다비드( Jacques-Louis David, 1748~1825)는 로마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고전적 아름다움을 추구했던 신고전주의 예술가입니다. 다비드는 프랑스혁명을 열성적으로 지지한 것으로 유명하며, 1804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궁정 화가가 되기도 했습니다. 다비드의 대표작품 중의 하나인 는 루이 16세가 호라티우스 가문을 주제로 그림을 그려 달라는 의뢰를 받아 완성한 작품입니다. 과거 로마의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세 명의 형제가 승리를 맹세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입니다. 기원전 7세기경 로마 왕국과 알바 왕국.. 2024. 2. 10.
최초의 음악학교 스콜라 칸토룸(Schola Cantorum) 이번에는 최초의 음악학교라고 할 수 있는 스콜라 칸토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그레고리안 성가에 대하여 포스팅을 하려다 먼저 스콜라 칸토룸을 소개하게 되었네요. 음악사에서 중세는 4세기 중엽부터 1515세기말까지의 약 1000년의 시기를 뜻합니다. 중세 초기 최초의 음악학교라 할 수 있는 '스콜라 칸토룸‘(Schola Cantorum, 노래하는 자들의 학교라는 뜻)이 세워졌습니다. 교황 실베스테르 1세(SylvesterⅠ, 재위 314-335)가 로마에 창설한 교회음악교육 기관으로 교황청에 소속된 성가대인 동시에 사제들에게 성가를 가르치는 음악학교였습니다. 그후 6세기에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재위 590-604)는 사제들이 성가대와 성직자의 임무를 병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하여 사제들은 성직자의 임.. 2024. 2. 8.
디에고 벨라스케스 <시녀들, Las Meninas>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그림중의 하나이며 대중들에게 공개되었을 때 많은 관심과 논란이 되었던 스페인의 벨라스케스의 을 포스팅합니다. 디에고 벨라스케스(Diego Rodriguez de Silva Velázquez, 1599~1660)는 펠리페 4세(1621~1625) 시대에 40년 가까이 궁정 화가 겸 왕실 소유의 미술품을 관리하였습니다. 그는 당시 흔하지 않았던 왕실의 든든한 후원을 받으면서 왕실의 초상화나 종교와 자신의 주변 세계를 작품에 담어내었습니다. 높이가 3미터에 달할 정도로 실물과 비슷한 크기의 은 벨라스케스가 사망하기 얼마 전 예술적 기교와 영감이 절정에 올랐을 때 완성한 그의 대표작품입니다. 그림에서 화실을 비추는 빛은 오른쪽 위에서 사선으로 비쳐 들어오는 자연광입니다. 태양의 직사광선.. 2024. 2. 6.
막스 브루흐의 바이올린협주곡 1번 G단조 가장 아름다운 협주곡주의 하나인 막스 브루흐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은 로맨틱하면서도 감수성이 풍부한 아름다운 곡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작품입니다. 막스 브루흐(Max Christian Friedrich Bruch, 1838-1920년)는 19세기 후반 독일의 낭만주의 작곡가 겸 지휘자였습니다. 그의 음악적 특징은 선율이 풍부하고 여러 나라의 민속적 소재를 사용하여 서사시적 표현을 한 것입니다. 브루흐는 3곡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남겼는데, 1번은 19세기 낭만주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대표하는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브루흐가 28세가 되던 1866년에 완성된 은 낭만적이고 감수성이 풍부하여 멘델스존의 바이올린협주곡 이후 가장 많이 연주되는 곡입니다. 이 곡은 독일 낭만주의 음악의 전통을 계.. 2024. 2. 4.
베토벤 <장엄미사 Missa Solemnis>, 자신의 최고의 작품으로 여기다! 종교음악은 아주 오랜만이군요. 베토벤이 자기 자신의 최고 작품이라고 말했던 에 대하여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어린 시절 스승 네페의 보조 오르가니스트로 궁정교회에서 미사를 위한 실제적 업무를 수행한 적은 있으나, 하이든과 모차르트처럼 예배(미사)를 위한 음악을 정기적으로 작곡해야 하는 위치에 고용된 적은 없었기 때문에 베토벤의 교회 음악은 매우 적습니다. 그가 남긴 교회 합창음악은 , , 가 있습니다.   는 1820년 베토벤의 오랜 음악적 후원자이자 레슨 제자이기도 했던 루돌프 대공(Archduk Rudolf, 1788-1831)이 모라비아 올뮈츠(올로모우츠)의 추기경(Archbishop of Olmütz)으로 서임되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1819년부터 작곡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1822년 겨울.. 2024. 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