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테너 바리톤 베이스의 세분화된 종류들
본문 바로가기
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클래식 잡학 사전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테너 바리톤 베이스의 세분화된 종류들

by 다시채 2023. 9. 17.

  클래식 중에서 오페라에 관심을 갖다 보면, 성악가의 음역대를 보다 세부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소프라노나, 리릭 메조소프라노, 스핀토 테너 등등... 이번에는 음역대별로 세분화하여 분류하는 용어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성악가는 음역대에 따라 여자 성악가는 높은음을 내는 소프라노와 그보다 낮은음을 내는 메조소프라노로 나뉩니다. 남자 성악가는 음역이 높은 순서대로 테너, 바리톤, 베이스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오페라에서는 보다 세분화하여 사용하는 표현들을 음역대에 따라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오페라에서 역할과 음색에 따라 분류하였지만 이러한 구분법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음역과 음색에 따라 세분화한 성악의 다양한 종류들이란 문구를 보여주는 이미지입니다.

 

소프라노


콜로라투라 소프라노(soprano coloratura)

  이탈리어어 '콜로라투라'(cooatura)는 '색을 입힌'이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소프라노 중에서 가장 화려합니다.  복잡한 장식음을 빠르고 정확하게 소화해 내는데,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에 나오는 '밤의 여왕 아리아'가 바로 여기에 해당됩니다. 대표적인 가수로는 조수미, 신영옥, 디아나 담라우가 있습니다.


리릭 소프라노(soprano lirico)

 가장 일반적인 소프라노이며, 소프라노중 대다수가 리릭(리리코) 소프라노에 해당합니다.입니다. 부드럽고 맑은, 서정적이면서 따뜻한 음색이 특징입니다. 이죠. 대표적인 가수는 안나 넵트렙코, 안젤라 게오르규 등이 있습니다.
 

리릭 스핀토 소프라노(soprano lirico spinto)

  이탈리아어 스핀토(spinto)는  '밀어붙이다'라는 뜻입니다. 리릭 소프라노와 마찬가지로 밝은 음색을 가지고 있지만 리릭 소프라노보다 좀 더 힘으로 밀어붙일 수 있는 소프라노를 가리킵니다. 


드라마틱 소프라노(soprano drammatico)

  열정, 분노, 절망 같은 다양하고 폭넓은 감정을 극적으로 표현해 낼 수 있는 약간 무겁고 어두운 빛깔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소프라노입니다. 리릭 소프라노에 비하면 수가 그리 많지 않고, 대표적인 가수는 마리아 칼라스입니다.  메조소프라노보다는 비교적 고음을 잘 표현하고 강렬한 음색 때문에 오페라 작품에서는 비극적이고 극적인 역할을 많이 맡습니다. 

 

메조소프라노


콜로라투라 메조소프라노(mezzo-soprano coloratura)

메조(mezzo)는 이탈리아어로 중간이라는 뜻입니다. 콜로라투라 소프라노와 마찬가지로 콜로라투라 메조소프라노는 복잡한 장식음을 빠르고 정확하게, 화려한 기교로 표현합니다. 체칠리아 바르톨리, 소니아 가나시, 조이스 디도나토 등이 이런 유형의 가수입니다. 


리릭 메조소프라노(mezzo-soprano lirico)

  콜로라투라처럼 화려하지 않으며 드라마티코처럼 강력하지 않지만 부드럽고 감성적인 음색을 가지고 있는 메조소프라노입니다. 주로 프랑스 오페라에서 리릭 메조소프라노의 비중이 높습니다. 유명한 메조소프라노 리리코 가수는 아그네스 발차, 엘레나 가랑차 등이 유명합니다. 

 

드라마틱 메조소프라노(mezzo-soprano drammatico)

  드라마틱 메조소프라노는 강한 중음과 두껍고 강력한 저음, 따뜻한 고음이 특징입니다. 드라마틱 소프라노가 비교적 한정적인 배역을 맡았던 것에 비해 아주 폭넓은 배역을 맡습니다. 씩씩하고 드라마틱한 음색이 고음보다 저음에서 더 빛을 발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주로 노파나 마녀, 악역을 맡습니다.

 

 

테너

 

레제로 테너(leggiero tenor)

  테너 중 가장 가볍고 날럽한 음색을 지녔으며 고음과 저음을 빠른 속도로 넘나드는 기교를 구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주로 가벼운 희극 오페라에 나오는 테너 역할이 많습니다. 대표적인 가수는 후안 디에로 플로레스입니다. 

 

리릭 테너(lirico tenor)

  레제로 테너보다 좀더 무게감 있으면서도 서정성을 띱니다. 테너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데, 따뜻하고 기품 있는 그들의 음색은 주로 사랑에 빠진 남자 주인공 역할에 잘 어울립니다. 루치아노 파바로티, 호세 카레라스, 론란도 비야손 등이 대표적인 가수들입니다.


스핀토 테너(spinto tenore)

  앞의 두 음색보다 훨씬 강렬하고 중량감 있는 음색의 테너입니다. 소리 자체가 단단한 느낌이라고 해야 할까요? 찌르는 듯 터트리는 그들의 고음은 언제나 짜릿한 전율을 일으킵니다. 대표적인 가수는 플라시도 도밍고, 요나스 카우프만 등입니다.


드라마틱 테너(dramatico tenor)

  리릭보다 밀어붙이는 힘이 있고 더 묵직한 음색을 지닙니다. 말 그대로 거대한 오케스트라의 사운드를 뚫고 나가는 드라마틱한 음색을 가지고 있는 테너입니다. 넘치는 힘과 박력으로 영웅적 주인공 역할에 가장 잘 어울립니다. 엔리코 카루소가 대표적인 가수입니다.

 

카운터 테너(counter tenor)

  여성 음역, 주로 알토를 노래하는 남성 가수를 일컫는 말입니다. 바로크 시대부터 존재하였지만 한동안 거의 사라졌다 현대에 부활했습니다. 현대에는 사라진 카스트라토 역할도 맡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가수는 알레아스 숄입니다.

 


바리톤

리릭 바리톤(baritono lyrico)

  리릭 바리톤은 감미롭고 부드럽고 서정적인 음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거칠고 웅장하기보단 맑은 미성이 돈보이지요. 일반적인 바리톤보다 높은 음역대를 소화할 수 있어야 하며, 주코 코믹한 역할을 많이 맡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가수는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입니다.


카발리에 바리톤(kavalier bariton)

  독일어 카발리에(kawaler)는 '기사, '신사', '멋쟁이'를 뜻합니다. 레카토가 좋으며 중음이 풍부하여 고풍스럽고 멋진 캐릭터들을 담당합니다. 음색 면에서는  리릭과 드라마틱의 중간에 있는 음색인데 스핀토 테너와 비견됩니다. 견고한 소리는 스핀토 테너와 비숫하지만 그보다 훨씬 중후한 멋을 느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가수는 레오 누치 토마스 햄슨 등이 있습니다.


드라마틱 바리톤(baritono drammatico)

드라마틱답게 가장 풍부한 음색을 가지고 있는 바리톤입니다.  권위가 있거나 원숙한 배역에 많이 쓰기 때문에  '영웅 바리톤'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호세 카레라스나 카를로 베르곤치, 주세페 디 스테파노 등이 대표적인 가수들입니다.

 

베이스

 

바소 칸탄테(basso cantante)

  바소 칸탄테(Basso Cantante)는 '노래하는 베이스'란 뜻으로, 남성 음역인 베이스 중에서도 선율적이고 서정적인 가창에 적합한 음색입니다. 베이스 중에서는 제일 높은 음역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베이스라 하면 무겁고 장중한 노래를 떠올리기 마련인데, 바소 칸탄테의 아리아를 들어보면 베이스도 가볍고 경쾌하게 노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가수로는 에치오 핀차, 루제로 라이몬디, 새뮤얼 래미, 체자레 시에피, 요세 반 담, 일데브란도 다르칸젤로 등이 있습니다.


바소 부포(basso buffo)

  이탈리아어 부포(buffo)는 '웃기는(희극적인)'이라는 뜻으로 코믹한 베이스를 가리킵니다.  특유의 능글맞은 저음과 우스팡스러운 복장과 동작으로 등장부터 관객의 시선을 한 몸에 사로잡습니다. 파올로 몬타르솔로, 세스토 브루스칸티니, 엔초 다라, 시모네 알라이모나 알렉산드로 코르벨리 등이 유명한 바소 부포입니다.

 

바소 프로폰도(basso profondo)

  이탈리아어로 '깊음 저음'이란 뜻으로 인간이 낼 수 있는 가장 묵직하고 낮은 소리의 음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려한 기교나 빠른 스케일 없이 단순한 선율의 아리아를 부르지만, 아무나 따라 할 수 없는 무게감 있는 음색 하나로 관객들을 매료시키는  성부입니다. 쿠르트 몰, 블라디미르 밀러 등이 대표적인 가수이며, 팀 스톰스는 '인간의 가장 낮은음'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댓글

다시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