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Language Arabic Chinese (Simplified) Chinese (Traditional) English French German Hindi Indonesian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Russian Spanish Vietnamese 미술 이야기49 우유를 따르는 여인(베르메르 / 페르메이르) "평범한 일상에서 최선을!" 베르메르의 [우유를 따르는 여인]은 당시 일상적인 모습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작품인데 빵집을 광고하는 그림처럼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마치 바흐가 카페 주인을 위해 [커피 칸타타]를 작곡한 것과 비슷한 것 같아 소개하고자 합니다. 얼마 전에 포스팅한 [진주 목걸이를 한 소녀]의 작가를 요하네스 페르메이르(Johannes Vermeer / Jan Vermee, 1632~1675)로 소개를 했는데, 서양미술사 두 권 모두 얀 베르메르로 표기하고 있기에 '베르베르'로 부르겠습니다. 베르메르는 평생 동안 35점의 작품 밖에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조심스럽고 세심한 화가였던 같습니다. 그렇다고 의미심장하고 거창한 주제를 다루지도 않았습니다. 그의 풍속화에는 특별한 이야기를 담고 있지 않습니다. 그의 그림에는 흔히 단 .. 2023. 7. 31. 종교개혁 이후 네덜란드 미술의 위기 극복 <feat.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으로 인한 변화로 인하여 유럽 미술 시장은 위기를 맞이하였지만 네덜란드에서는 회화 열풍이 일어 새로운 활로를 마련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종교개혁 이전의 교회는 미술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당시에는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았기에 그림을 통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수단이 되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교회당을 장식하는 회화와 조각, 스테인글라스 등을 통하여 하나님의 능력과 영광을 나타내는 방편으로 삼았습니다. 교회는 미술가들을 후원했고 미술 시장을 좌지우지하는 대표적 큰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회와 더불어 예술가를 후원한 왕실 역시 왕의 권위와 위엄을 자랑하고 권력을 드러내기 위한 정치 선전 도구로써 예술을 활용해 궁전을 장식했습니다. 하지만 루터의 종교개혁.. 2023. 7. 25. 서양화에는 왜 여인의 누드가 많은 등장할까?(Feat. 파리스의 심판) 서양의 그림 중에는 여인을 누드로 묘사하는 모습이 많이 등장합니다. 왜 서양의 그림에는 이런 특징이 나타나는 것인지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동양의 그림은 여인을 그림으로 그려도 알 몸이 드러나는 그리는 것은 많이 않습니다. 그런데 어째서 서양의 그림에서는 왜 이렇게 대놓고 여인의 누드를 그리는 그림이 많은 것일까요? 일례로 벨기에의 화가 페테르 바울 루벤스(Pieter Pauwel Rubens, 1577-1640)는 (The Judgement of Paris)을 여러 번 그렸는데, 여신들의 아름다운 몸매를 다각도로 보여줍니다. 은 고대 그리스 시인 호메로스의 서사시 (Ilias)에 기록된 내용을 근간으로 많은 화가들이 그림을 그렸습니다. '가장 아름다운 여인에게'라는 문구가 적힌 사과를 차지하기 위.. 2023. 7. 21. 미술은 언제 어떻게 시작된 것일까? 미술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곰브리치(E. H. Gombrich)의 서양미술사에 보면 언어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모르는 것처럼 미술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모른다고 합니다. 그래도 미술이 언제 시작되었는지를 풀기 위한 시도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미술이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이야기할 때 고대 로마의 저술가 플리니우스의 기록이 자주 인용된다고 합니다. 옛날 그리스 코린토스에 살았던 젊은 여성에게는 애인이 있었는데, 불행하게도 먼 나라로 떠나보내야 했다. 슬픔에 빠진 여성은 애인과 떨어져 있는 동안에도 애인의 모습을 계속 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고민했습니다. 갑자기 여성에게 멋진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벽에 비친 그림자를 따라서 선을 그어 남자의 얼굴을 기록하는 것이었습니다. 여성은 애인을 등잔불.. 2023. 7. 19. 이전 1 ···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