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네브리즘 (Tenebrism)과 키아로스쿠로(Chiaroscuro)는 어떻게 다른가
본문 바로가기
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미술 이야기

테네브리즘 (Tenebrism)과 키아로스쿠로(Chiaroscuro)는 어떻게 다른가

by 다시채 2025. 4. 3.

  미술 작품에 대한 포스팅을 하면 최근 눈의 띄는 전문용어가 테네브즘과 카아로수쿠로입니다. 비슷한 것 같은데 좀 다른 것 같아서 두 용어에 대하여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먼저, 테네브리즘 (Tenebrism)과 키아로스쿠로(Chiaroscuro)에 대하여 간단한 설명입니다.

 

키아로스쿠로(Chiaroscuro)

  - 이탈리아어 Chiaroscuro = Chiaro(밝음) + Scuro(어두움)

  - 부드러운 명암 전환을 통한 입체감 강조

 

테네브리즘(Tenebrism)

  - 라틴어 'Tenebrae'은 어둠

  - 극단적인 명암 대비를 통해 강렬한 극적 효과 연출

 

 

공통점

  - 둘 다 빛과 그림자를 활용하는 기법

  - 명암의 극적인 대비를 통해 입체감을 강조

  -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 화가들이 즐겨 사용했음

 

 

차이점


키아로스쿠로(Chiaroscuro) 테네브리즘(Tenebrism)
의        미 빛과 그림자의 점진적 전환 극단적인 명암 대비
분  위  기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입체감 강렬하고 드라마틱한 효과
명암 변화 점진적 (그라데이션) 갑작스러운 대비
주요 특징 현실적인 빛의 흐름 특정 인물이나 대상에 집중
사용 목적 특정 부분에 초점 및 감정 극대화 장면 전체의 조화와 자연스러운 표현
대표 화가 다 빈치, 라파엘로, 렘브란트 카라바조, 리베라, 젠틸레스키
대표 작품 모나리자, 아테네 학당, 야경 성 토마스의 의심, 베드로의 회개,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베는 유디트

 

 

  아주 간단한 비유를 통해 두 개념의 차이를 설명을 해볼까요?

   만약 테네브리즘이 스포트라이트로 특정 대상만 밝히는 연극 무대라면, 키아로스쿠로는 햇살이 드리운 자연 풍경처럼 부드럽게 빛과 그림자를 배치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견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이번에는 테네브리즘 작품과 키아로스쿠로 작품을 비교해 볼까요?

 램브란트의 <야경>과 카라바조의 <토마스의 의심>이란 작품을 한번 보세요.

 

램브란트의 <야경>

 

카라바조의 <토마스의 의심>

 

  램브란트의 <야경>은 빛이 점진적으로 부드럽게 퍼져 있습니다. 이것은 키아로스쿠로 기법이지요. 하지만 카라바조의 <토마스의 의심> 빛이 등장인물에게 집중되고 나머지는 어둡게 처리되어 강조 대조를 있네요. 바로 테네브리즘입니다.

 

  이상으로 테네브리즘과 키아로스쿠로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런 두 가지 개념을 이해하시면 그림을 관람하시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다시채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