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악을 감상할 수 있는 첫 번째 곡으로 슈베르트의 '송어'를 선정했습니다. 많은 곡들을 추천할 수 있지만 가장 익숙하고 편안하게 실내악과 친해질 수 있는 것 같아 소개합니다.
실내악곡을 첫 번째로 뭘 올려야 할까?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이 슈베르트의 송어입니다. 하지만 슈베르트의 가곡을 소개해서 다른 작곡가의 곡을 소개한 후 다음에 올리고 싶었습니다. 또다시 고민.... '실내악 추천'으로 검색을 해봤습니다. 와우.. 정말 다양한 작곡자와 다양한 곡들을 추천하더군요. 사람들의 취향은 다양하고 정답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결국 가장 생각했던 곡이자 가장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는 슈베르트의 송어를 선택할 수밖에 없네요.
성악곡에서 피아노5중주의 변주곡으로!
아버지와 계속되는 불화로 결국 스무 살이 되던 해 집을 떠나온 슈베르트는 빈에서 프란츠 폰 쇼버의 집에서 지내며 정신적, 물질적 후원을 받게 됩니다. 쇼버는 슈베르트에게 당시 유명한 바리톤 가수 미하엘 포글(1768-1840)을 소개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이들은 '슈베르티아데'란 모임을 만들어 슈베르트의 음악을 연주하는 모임을 만듭니다.
슈베르트 1817년 18세기 시인 슈바르트(Christian Friedrich Daniel Schubart)의 시를 바탕으로 <송어 Die Forelle>라는 가곡을 만들어(원래 4연인데 3연까지만 사용), 그해 슈베르티아데[슈베르트 가곡을 연주하는 연주회 모임]에서 초연하였습니다. 가사는 개울 속 송어를 잡기 위해 낚시꾼이 흙탕물을 만들어 결국 송어를 낚아 올린다는 내용입니다. 이 가곡의 작품번호는 D.550입니다.
2년 후 포글은 슈베르트와 함께 슈타이아(Steyr)를 여행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슈타이어는 포글의 고향으로 오스트리아 북부 산지의 작은 도시였습니다. 이때 광산업자이자 아마추어 첼리스트 실베스트 파움가르트너를 만나게 됩니다. 송어란 가곡을 초연한 포글의 노래를 듣고 매료된 파움가르트너는 자신이 첼로 연주자로 참여할 수 있는 피아노5중주 곡을 슈베르트에게 의뢰하였습니다. 슈베르트 또한 1821년까지 이 곡을 무려 네 차례나 수정했던 것을 볼 때, 그 역시 이 곡에 애정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슈베르트는 피아노5중주를 작곡하면서 의뢰자가 좋아하는 가곡 송어의 선율을 변주곡 형태로 만들어 4악장에 넣었지요. 그래서 <송어>는 피아노5중주의 제목이 되었답니다. 피아노5중주곡의 작품번호는 D. 667입니다.
잘못 번역된 제목
국내에서는 한동안 일제강점기 때 오역으로 인해 교과서에까지 '숭어'로 잘못 알려져 있었는데, 지금은 '송어'로 바로 잡아졌습니다. 참고로 송어는 연어와 같은 종류인 민물고기인 반면, 숭어는 그냥 바다 물고기랍니다. 가사를 보면 강이 언급되기에 송어가 확실하네요.
곡의 특성
슈베르트가 1819년 작곡한 피아노 5중주 송어는 더불베이스가 포함된 특이한 곡입니다. 일반적인 피아노 5중주에는 보통 2명의 바이올린 연주자, 1명의 비올라 연주자, 1명의 첼로 연주자로 이루어지는데, 이 곡에서는 바이올린 하나를 빼고 더블베이스를 추가하였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당시 슈타이어에 더블베이스 연주자가 있었기 때문에 의뢰자 파움가르트너가 훔멜의 5중주와 같은 편성의 곡을 원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지극히 현실적인 이유에서 시도한 편성이지만 바이올린이 한 대인 까닭에 피아노와 바이올린의 움직임이 오히려 경쾌하게 도드라지고, 더블베이스의 피치카토가 신선한 리듬감을 더하는 등의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슈베르트가 파움가르트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저음을 풍성하게 느낄 수 있는 더블베이스를 추가로 배치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또 한 가지 특징이라면 슈베르트의 작품 중에서 경쾌하고 생동감이 느껴지는 곡입니다. 가난과 병고(病故)의 연속이었던 31년 여의 슈베르트의 삶에서 느껴지는 애수가 아니라 즐거운 여행 중이라서 그런지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곡입니다.
작곡가 프란츠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에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s://www.dasichae.kr/2023/07/Franz-Peter-Schubert.html
가곡의 왕이라 불리는 슈베르트의 생애와 작품
짧은 생애를 살았지만 아름다운 곡을 유산으로 남긴 슈베르트의 생애와 작품을 간략하게 살펴본 글이다.
www.dasichae.kr
Tips!
리히테르(Sviatoslav Richter)의 피아노와 보로딘 쿼텟(Borodin Quartet)의 연주도 좋아해서 소개하려 했으나 전곡이라 생략했습니다. 알프레드 브렌델(Alfred Brendel)의 피아노와 클리브랜드 쿼텟(Cleveland Quartet)의 언주를 감상해 보시죠. 송어의 경쾌한 분위기를 살린 훌륭한 연주입니다.
대신 송어를 가곡 버전으로 감상해 보시라고 하나 더 링크합니다. 소프라노 조수미 님의 노래입니다.
'함께 듣고 싶은 클래식 > 실내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악 5중주의 대가로 알려진 루이지 보케리니의 미뉴에트(Minuetto) (42) | 2023.06.11 |
---|---|
"영적 미니멀리즘" 아르보 패르트의 거울 속의 거울(Spiegel im Spiegel) (28) | 2023.05.05 |
바로크 시대의 걸작 파헬벨의 캐논(Canon and Gigue in D major) (27) | 2023.05.03 |
다방면으로 뛰어났던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중 백조 (17) | 2023.04.11 |
"내 인생을 생각하게 하는 음악" 스메타나의 현악4중주 내 인생으로부터(From my Life) (33) | 2023.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