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moonlight)
본문 바로가기
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함께 듣고 싶은 클래식/독주곡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moonlight)

by 다시채 2024. 1. 11.

  베토벤의 실연의 아픔이 담긴 피아노 소나타 <월광>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베토벤의 월광 소나타(moonlight)로 불리우는 피아노 소나타 14번(Op.27 No.2는 1801년 작곡되었습니다. 당시 베토벤은 피아노를 가르치던 귀족 줄리에타 귀차르디(Julie Guicciardi, 1784-1856)와 사랑에 빠졌고, 14살이라는 나이 차에도 불구하고 결혼을 결심하였습니다. 하지만 20대 후반부터 감지된 귓병은 베토벤의 일상에 그림자를 드리웠고, 귀차르디 백작은 신분 차이를 이유로 두 사람의 결혼을 강력하게 반대하였지요. 결국 청년 베토벤은 실연의 상처를 이기지 못하고 <환상곡풍 소나타>라는 제목을 붙여 줄리에타에게 헌정하였습니다. 그 후 베토벤은 일생 줄리에타의 초상화가 들어간 상아 장식을 책상에 간직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실연의 상처가 승화된 이 작품에서 베토벤은 ‘환상곡풍 소나타’(Sonata quasi una Fantasia)라는 부제를 붙여 새로운 시도를 하였습니다. 우선 ‘아다지오 소스테누토’의 느린 악곡을 1악장으로 과감하게 배치한 것은 서양 음악사상 최초로 시도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비창>이나 <고별> 소나타처럼 느린 도입부가 짧게 등장한 경우는 있었어도, 악장 전체를 녹턴 풍의 느린 악곡으로 배치한 경우는 거의 드물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형식적 측면에서도 대조적인 1악장과 2악장을 마치 하나의 악장처럼 묶어내어 연주자와 관객 모두에게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베토벤의 월광 소나타에서 보여준 새로운 시도는 세기를 넘어 작곡가들에게 끝임 없는 영감의 원천이 되었습니다.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14번 월광에 대한 이미지압니다.
출처 :&nbsp;music.bugs.co.kr



   베토벤의 월광 소나타는 1악장의 호소력 있는 선율과 3악장의 화려한 연주기교로 대중에게도 많은 사랑은 받아온 작품입니다. 1악장은 아다지오 소스테누토(Adagio Sostenuto, 느리게 한 음 한 음을 깊게 눌러서)로 깊은 명상에 잠긴 듯한 시적인 정취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세레나데(Serenade)로 밤의 부드러운 달빛에 투사되는 <월광>이라는 특징에서 잘 표현되었습니다. ‘월광’이란 명칭은 시인이자 음악평론가인 렐스타브(Ludwi Rellstab, 1779-1860)가 제1악장을 스위스의 루체른 호수(Lucerne)의 달빛에 흔들리는 작은 배“라고 비유했던 것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런 비유는 베토벤이 세상을 떠난 지 5년이 지난 후였습니다. 

 

  2악장은 리스트가 "두 심연 사이에 핀 한 다발의 꽃"에 비유했던 것으로, 느리고 서정적인 1악장과 빠르고 격렬한 3악장을 연결시켜 주는 짧은 악장입니다.

 

  3악장은 프레스토 아지타토(presto agitato, 빠르고 급하게)로 격렬하고 뜨거운 열정을 터뜨리는 악장입니다.

 

비교 감상하기!

   템포가 비슷하지만 피아노가 다른 연주로 1악장만을 감상해 보시죠. 너무 많은 링크를 걸지 않고 싶어서요.

 

  우크라이나 출신 에밀 길렐스(Emil Gilels, 1916-1985)는 베토벤 소나타 전곡을 녹음하지 못했지만 파워와 서정미의 조화가 돋보입니다. 길렐스가 강하고 빠르게 친다는 평가를 받는데, 1악장의 연주는 다른 연주자들에 비해 다소 느린 편입니다. 물론 3악장에서는 빠르고 격렬한 연주를 제대로 보여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mAfVwYakbs&t=24s

 

  길렐스 외 좋은 연주가 많으나 베토벤이 이 곡을 작곡했을 당시의 안톤 발터 피아노로 연주한 것을 감상해 보시길 바랍니다. 현대 피아노와 다르게 안톤 발터 피아노가 부드럽게 들립니다. 현대 피아노보다 먹먹하고 저음이 풍부한 것 같아 달빛의 느낌을 주는 것 같습니다. 연주자는 오스트리아의 파울 바두라-스코다(Paul Badura-Skoda, 1927-2019)

 

https://www.youtube.com/watch?v=eElYYTneKuU&list=RDeElYYTneKuU&start_radio=1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