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명작으로 알려져 있지만 당시에는 문제작으로 큰 화제가 되었던 에두아르 마네의 <풀밭 위의 점심 식사> 작품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863년 프랑스 왕립 미술원이 개최한 살롱전에는 다른 해보다 상금이 커서 5000점을 출품되었고, 2783점이 낙선했습니다. 카바넬의 <비너스의 탄생>이 우승을 했는데, 보수적이어서 심사에 불만을 가진 화가들이 많았습니다. 그러자 나폴레옹 3세는 거센 불만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낙선작을 모은 "낙선전"을 개최하여 관람객들이 직접 판단하게 하였습니다. 낙선전에 첫날 7천 명 이상이 몰려들 정도로 성공적이었는데, 주로 조롱과 아유를 보내기 위함이었습니다.
낙선전에 에두아르 마네(Edouard Manet, 1832-1883)의 3개의 작품도 포함되었는데, 그중 하나가 <풀밭 위의 점심 식사 Luncheon on the Grass>입니다. 이 작품은 당시 미술계와 일반대중들에게 엄청난 파문을 일으킨 문제작이었습니다.
그림은 숲으로 소풍을 나온 두 명의 신사와 여성이 함께 있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왼편에는 점심을 먹고 남은 빵과 과일이 나뒹굴어져 있고 빈 술병도 쓰러져 있습니다. 가장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것은 누드 상태로 앉아 있는 여성입니다. 여인은 알몸 상태를 전혀 부끄러워하지 않고 빤히 다른 곡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림을 바라보는 관람객으로 하여금 마치 누드 여성과 눈을 마주친 것 같은 착각을 갖게 합니다. 당시 누드화는 여신이나 요정의 아름답게 묘사된 것과 달리 외설적인 모습을 화폭에 담은 것 자체가 비평가들과 관객들 모두에게 피난을 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심지어는 누드 여인의 배가 나온 것까지 문제시했다고 합니다.
뒤쪽에는 속옷만 걸친 여인이 물속에서 몸을 씻고 있습니다. 이 여인은 앞쪽의 세 사람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어 보이지만 몰 속의 여인은 고전미술의 삼각형 구조에서 꼭짓점에 해당하는 중요한 위치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의 또다른 삼각구조는 오른쪽 남자의 양손과 누드 여인의 왼발이 같은 색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여인의 그림은 원근법을 무시한 것입니다. 마네는 원근법을 없애는 방식을 통해 전통미술을 저항했는데, 물 속의 여인도 앞에 있는 사람들보다 크게 그려져 있습니다. 특히 나룻배가 더 작게 그려진 것을 통해 도드라져 보입니다.
또한 마네는전통적인 명암법도 무시해 버렸습니다. 두 남성과 누드 여인의 밝은 살갗을 평평하고 단순한 색면으로 처리하였고, 나무와 풀의 표현도 명암을 대담하게 생략해 버렸습니다.
이와 같이 이 작품은 전통적인 원근법이나 거리비례의 왜곡과 명암법아 무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알몸의 여성이 관객을 빤히 바라보는 듯한 외설적인 묘사 때문에 당시 보수적인 미술계와 대중들이 비난을 받아야 했습니다.
하지만 마네는 이 작품을 통해 당시 사회의 도덕성을 고발하고 있습니다. 당시 남성들은 유행하는 신사복을 입고 매춘 여성들과 함께 숲 속 풀밭으로 나들이를 가곤 했습니다. 그러니까 누드의 여인은 꾸며낸 것이 아니라 현실 속의 있는 여인의 모습었고, 이런 그림을 통해 당시 프랑스 사회의 가식과 위선을 꼬집었던 것입니다. 이 작품 속에서 외설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마네는 외설적인 사람이 외설적인 생활을 알아본다고 말했다는 것을 통해 그의 의도가 분명해 보입니다.
그림 속의 인물들은 모두 마네의 주변 인물이었습니다. 오른쪽 남성은 마네의 친동생 귀스타브, 왼쪽에 있는 남성은 마네의 친구로 곧 처남이 될 페르디낭 렌호프였습니다. 누드 여인은 18세의 빅토린 뫼랑이라는 모델인데, 1862년부터 13년 동안 마네의 수많은 작품에 등장하게 됩니다. 뫼랑과 마네는 모델과 화가 그 이상의 관계였지요.
그림 속에는 동물도 그려져 있습니다. 왼쪽 하단의 끝에는 개구리가 그려져 있는데, 속세를 상징합니다. 반면 중앙 윗부분에 있는 새는 이상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풀밭 위의 점심 식사>는 마네로 하여금 온갖 비난과 악평에 시달리게 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이름을 유명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현대미술로 나아가는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것으로 평가를 받아 지금은 문제작이 아니라 걸작이 된 것입니다. 마네는 1865년 살롱전에 당시 고급 매춘 여성들 사이에서 유행던 이름인 <올랭피아, 1863년>란 작품을 출품하여 또 한 번 유명세를 타게 됩니다.
'미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에버렛 밀레이의 <오필리아 Ophelia> (42) | 2024.11.06 |
---|---|
알프레드 뒤러의 <모피 코트를 입은 자화상> (22) | 2024.10.04 |
티치아노의 <우르비노의 비너스 Venus of Urbino> (91) | 2024.07.18 |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 The birth of Venus> (88) | 2024.07.13 |
도메니코 기를란다요의 <노인과 어린이> (80) | 2024.07.02 |
댓글